본문 바로가기

CS+PS27

[KNIME] KNIME L1 Certificate https://www.geeksforgeeks.org/ai-tools-for-data-analysis/#9-knime Top 10 AI Tools for Data Analysis - GeeksforGeeks Here are Top 10 AI Tools for Data Analysis which is used to analyze data:- 1. Polymer 2. Tableau AI 3. MonkeyLearn 4. Jupyter AI 5. Qlik 6. ChatGPT www.geeksforgeeks.org * Knime은 AI Tools for Data Analysis Top 10 안에 드는 데이터 분석 툴이다. 2024. 2. 26.
[정처기] 2020년 8월 기출문제 풀이 1번.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요구사항 분석 시에 필요한 기술 : 청취와 인터뷰 질문 기술, 분석과 중재기술, 관찰 및 모델 작성 기술 2번. 디자인패턴 visitor 패턴(행위패턴): 각 클래스들의 데이터 구조에서 처리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의 클래스로 구성함. 분리된 처리 기능은 각 클래스를 방문하여 수행 observer 패턴(행위패턴): 한 객체의 상태가 변화하면 객체에 상속되어 있는 다른 객체들에게 변화된 상태를 전달. 분산된 시스템 간에 이벤트 생성, 발행(publish), 이를 수신(subscribe) 해야할 때 이용함 bridge 패턴(구조패턴): 구현부에서 추상층을 분리, 서로가 독립적으로 확장, 기능과 구현을 두개의 별도 클래스로 구현 Factory.. 2023. 12. 30.
[정처기] 2020년 6월 기출문제 풀이 1번. 동료검토: 2~3명이 진행하는 리뷰형태로 작성자가 설명하고 이해관계자들이 설명을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 워크스루: 검토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오류를 조기 검출하는데 목적을 두는 요구 사항 검토 방법 인스펙션: 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확인하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 2번. 연상코드: 코드화 대상 항목의 명칭이나 약호와 관계 있는 숫자나 문자, 기호를 이용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 블록코드: 코드화 대상 항목중에서 공통성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표의 숫자코드: 길이 넓이 부피 등 항목의 성질의 물리적인 수치를 그대로 코드에 적용시키는 방법 순차코드: 코드 설꼐에서.. 2023. 12. 28.
[알고리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 중복되는 연산을 줄이자 최적의 해를 구하기에 시간이 매우 많이 필요하거나 메모리 공간이 매우 많이 필요한 문제 등이 컴퓨터로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컴퓨터는 연산 속도에 한계가 있고, 메모리 공간을 사용할 수 잇는 데이터의 개수도 한정적이라는 점이 많은 제약을 발생시킨다. ➡️ 연산 속도가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 알고리즘 작성의 필요성 ⬆️ 어떤 문제는 메모리 공간을 약간 더 사용하면 연산 속도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동적 계획법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로 피보나치 수열이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이전 두 항의 합을 현재의 항으로 설정하는 특징이 있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2023. 11. 28.
[알고리즘] 이진탐색 (범위가 큰 수라면.. 이진탐색이다!) 순차 탐색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이란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순차 탐색은 이름처럼 순차로 데이터를 탐색한다. 순차 탐색은 정말 자주 사용되는데, 리스트에 특정 값의 원소가 있는지 체크할 때도 순차 탐색으로 원소를 확인하고, 리스트 자령에서 특정한 값을 가지는 원소의 개수를 세는 count() 메서드를 이용할 때도 내부에서는 순차 탐색이 수행된다. #순차탐색 def 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각 원소를 하나씩 확인하며 for i in range(n): if array[i] == target: return i+1 #현재 위치 반환(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1 더하기) .. 2023. 11. 14.
[파이썬]빠른 입출력 데이터의 개수가 1,000만 개를 넘어가거나 탐색 범위의 크기가 1,000억 이상이라면 이진 탐색 알고리즘을 주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입력 데이터의 개수가 많은 문제에 input() 함수를 이용하면 동작 속도가 느려서 시간 초과로 오답 판정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입력 데이터가 많은 문제는 sys 라이브러리의 readline() 함수를 이용하면 시간 초과를 피할 수 있다. import sys #하나의 문자열 데이터 입력 받기 input_data = sys.stdin.readline().rstrip() #입력받은 문자열 그대로 출력 print(input_data) sys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는 한줄 입력받고 나서 rstrip() 함수를 꼭 호출해야 한다. 소스코드에 readline()으로 입력하면.. 2023. 11. 13.